지난 금요일 전공의 파업이 있었다.
많은 사람이 파업하는 의사를 비난하는 듯하다.
그런데 과연 이게 의사를 탓할 일인가?
의대 정원 확대가 정말 얼마나 관련자들과 논의되고 결정된 것인가?
정치인이 결정했으니 그냥 따르라는 것 아닌가?
그리고 정말 의사가 모자라는가?
내외산소 의사가 모자란다고?
일단 내외산소 의사가 정말 모자라는가?
전공의 정원은 채우지 못한다. 그런데 산부인과는 기존의 산부인과 전문의도 병원 문 닫는 게 현실 아닌가?
외과도 그렇다. 흔히 말하는 가장 많이 기피한다는 흉부외과를 생각해보자. 그들이 전문의가 된 후 무엇을 하겠는가? 큰 병원 의사가 아니면 갈 곳이 없다. 그런데 큰 병원에서 그들을 귀하게 여기고 채용하는가? 큰 병원에서마저 찬 밥 신세 아닌가? 수술하면 할수록 적자 본다고 구박받는. 소아과 의사도 그렇다. 앞으로 아이들이 없는데 의사 인력 배출해 놓으면 그 사람들은 손가락 빨고 있어야 하는가? 볼 아이들이 있을까?
시골에 의사가 없다고 한다. 웬만한 시골에는 다 있다. 홍천에는 병원이 많아서 운영이 힘들다고 하고, 인제, 원통, 하다 못해 기린면 현리에도 병원이 있다. 더 작은 동네에 없다고. 인구 몇 백 명도 안 되는 곳에 병원이 있은 들 그 병원이 운영이 될까? 하루에 10면 내외의 환자 보는 작은 의원이 있으면 그 의사와 직원 월급은 어디서 마련하나? 정부에서 병원 차려놓고 월급 의사 모집하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? 그리고 우리나라처럼 작은 나라에서 그 정도면 급하면 차를 이용하여 어디든 갈 수 있지 않은가?
지역에 소아외과 의사가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. 당연하지 않은가? 만약 있으면 그 소아외과 의사가 몇 명의 환자나 볼 수 있을까? 있은 들 누가 갈까?
환자들이 모두 서울로 가는데 지방에 의사가 많으면 그 의사들이 뭐해야 하나?
삼척 출신 친구가 아버님이 편찮으셔서 삼척의 큰 병원인 삼척의료원 갔다가 그 시설에 놀라 강릉 아산병원으로 옮겼다고 했다. 그렇다. 병원이, 특히 좋은 시설의 병원이 없는 것이다. 갈만한 병원을 마련해놓고 의사 모자란 타령을 해야 하지 않을까?